기록하는삶

[데이터베이스/DB] 엔티티(Entity)와 어커런스(Occurrence) 본문

AI/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DB] 엔티티(Entity)와 어커런스(Occurrence)

mingchin 2021. 9. 22. 01:43
728x90
반응형

엔티티(Entity)

> '주제영역'의 하위개념

주제영역 = 데이터의 상위 수준의 분류, 조직에서 관심을 가지는 기능 혹은 업무에 대한 엔티티의 그룹

ex) LG 전자의 주제영역 → 제품개발, 생산, 판매, A/S, 마케팅

> 엔티티(Entity) =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information)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단위 (= 엔티티 타입 or 엔티티 클래스)

> 엔티티는 2개 이상의 어커런스(Occurrence)의 집합, 어커런스에 기록되는 실제 data의 값을 인스턴스(Instance)라 함

ex) 엔티티 = 강의실, 하위 어커런스 = 강의실 1 , 강의실 2, 인스턴스 = 101호, 102호

* 어커런스는 구조이므로 빈칸의 개념이다. (서로 다른 강의실이 2개 이상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 인스턴스는 어커런스(빈칸)에 들어가는 실제 값(강의실의 호수)을 말한다.

엔티티(Entity)의 요건

① 반드시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어야 함

②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 (중요)

③ 2개 이상의 어커런스의 집합이어야 함 (하나일 경우 무의미한 정보가 됨)

④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함 (이용되지 않는다면, 그 업무에 한해 엔티티가 아님)

⑤ 반드시 속성이 있음

⑥ 다른 엔티티와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relation)가 있어야 함

시점에 따른 엔티티(Entity) 분류

> 기본 엔티티(Fundamental Entity): 업무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정보로써 잘 변하지 않음

ex) 사원, 고객

> 중심 엔티티(Main Entity): 기본 엔티티로부터 태어난, 업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정보

ex) 접수, 주문, 계약

> 행위 엔티티(Active Entity): 기본, 중심엔티티를 근간으로 업무가 흘러가면서 발생되는 엔티티로 자주 변화함

ex) 주문목록

엔티티(Entity) 선정 방법

① 업무기술서, 장표, 보고서, 인터뷰, 현장조사 등에서 명사를 구분

② 개념이 불분명하거나 광범위한 것을 제거

③ 엔티티의 특성이거나 속성의 값인 것을 제거

④ 업무 프로세스에 해당되는 명사(관계에 대한 것) 제거 (ex. 신청)

⑤ 중복되는 명사 제거(따로 기록하기도 함)

⑥ 누락된 엔티티 유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