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I/도커(Docker) (2)
기록하는삶

학습 서버가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모델링 과정에서 필수적이고, 꽤나 중요한 작업이다. 최근 사양이 좋은 서버를 담당하며 그 중요성이 더 커져서 주말에도 모니터에 로그를 띄워놓고 확인하곤 했는데, 늘 서버를 들여다 보고 있어야 한다는 것은 꽤나 고역이고,, 주말에 모니터링을 한다는 건 사실 없어야 하는 일이다. 따라서 해당 문제를 해결하고자 아래 작업을 수행했다. 현황 파악 및 목표 설정현황현재 빌더는 docker container 기반으로 실행한다. 컨테이너를 띄워놓고 그 안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일회성으로 (--rm 옵션) 컨터이너를 띄우고 내리기 때문에 그 프로세스가 종료 되었는지 여부가 곧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해당한다. 즉, 프로세스가 잘 살아 있는지를 알..

부스트 캠프 교육에서 잠깐 배웠고, 입사 후에는 도커 기반으로 빌더를 실행하고 있으나 정작 그 개념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한 부분이 많았다. 도커는 효과적인 가상화 도구다,, 정도의 개념만 가지고 있었다. 이 참에 실무에 도움이 되는 선에서, 주요 개념과 활용 방법에 대해 하나씩 정리하고자 한다. What is Docker(Container)? (vs Virtual machine)Docker는 컨테이너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생성, 동작,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이제는 일종의 플랫폼이자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기술의 고유 명사가 되었다. Docker의 정의에 "컨테이너"를 언급해야만 하므로, 컨테이너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결국 Docker 이해의 출발점이다. 도커 공식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