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하는삶

[코딩 테스트 연습(파이썬/Python)] 백준(BOJ) 2206번 _ 벽 부수고 이동하기 본문

백준(Python)/그래프, 그래프탐색

[코딩 테스트 연습(파이썬/Python)] 백준(BOJ) 2206번 _ 벽 부수고 이동하기

mingchin 2022. 2. 6. 19:42
728x90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2206

 

2206번: 벽 부수고 이동하기

N×M의 행렬로 표현되는 맵이 있다. 맵에서 0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나타내고, 1은 이동할 수 없는 벽이 있는 곳을 나타낸다. 당신은 (1, 1)에서 (N, M)의 위치까지 이동하려 하는데, 이때 최단 경로

www.acmicpc.net

[문제]

N×M의 행렬로 표현되는 맵이 있다. 맵에서 0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나타내고, 1은 이동할 수 없는 벽이 있는 곳을 나타낸다. 당신은 (1, 1)에서 (N, M)의 위치까지 이동하려 하는데, 이때 최단 경로로 이동하려 한다. 최단경로는 맵에서 가장 적은 개수의 칸을 지나는 경로를 말하는데, 이때 시작하는 칸과 끝나는 칸도 포함해서 센다.

만약에 이동하는 도중에 한 개의 벽을 부수고 이동하는 것이 좀 더 경로가 짧아진다면, 벽을 한 개 까지 부수고 이동하여도 된다.

한 칸에서 이동할 수 있는 칸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칸이다.

맵이 주어졌을 때, 최단 경로를 구해 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0), M(1 ≤ M ≤ 1,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 M개의 숫자로 맵이 주어진다. (1, 1)과 (N, M)은 항상 0이라고 가정하자.

[출력]

첫째 줄에 최단 거리를 출력한다. 불가능할 때는 -1을 출력한다.

 

[아이디어]

1) 벽을 부쉈는지 여부를 queue내에서 현재 좌표와 함께 관리해주어야 한다.

2) 벽을 부수는 경우를 포함해 경로가 가장 짧도록 해야하므로, 벽을 부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따로 관리한다.

3) 이동횟수 cnt를 기준으로 반복문을 작성하면, 둘 중 먼저 도착지점에 도달하는 경우에 반복문을 종료하면 된다. 도착 지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queue가 비게 되면 -1을 출력한다.

 

n,m = map(int, input().split())
maps = [list(map(int, list(input()))) for _ in range(n)]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n,m,maps):
    cnt = 1
    dx = (1,-1,0,0)
    dy = (0,0,1,-1)
    q = deque([(0,0,False)])
    visit = [[[0]*m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2)]
    visit[0][0][0] = visit[1][0][0] =1
    while q:
        tmp = deque([]); cnt+=1
        for x,y,breaks in q:
            if x==n-1 and y==m-1:
                return cnt-1
            for i in range(4):
                k = int(breaks)
                if 0<= x + dx[i] < n and 0 <= y + dy[i] < m:
                    if maps[x + dx[i]][y + dy[i]]==0 and not visit[k][x + dx[i]][y + dy[i]]:
                        visit[k][x + dx[i]][y + dy[i]] = cnt
                        tmp.append((x + dx[i], y + dy[i],breaks))
                    elif maps[x + dx[i]][y + dy[i]]==1 and not visit[k][x + dx[i]][y + dy[i]] and breaks == False:
                        k = 1
                        visit[k][x + dx[i]][y + dy[i]] = cnt
                        tmp.append((x + dx[i], y + dy[i],True))
        q = tmp
    return -1

print(bfs(n,m,maps))

2)의 아이디어를 떠올리지 못해서 하나의 visit을 관리하다보니, 벽을 부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혼합되어 오류가 났었던 것 같다. 벽을 부순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동일한 지점을 기준으로 엎치락 뒤치락 할 수 있기 때문에, 3개의 원소를 관리하는 만큼 visit 역시 2개의 차원으로 관리해주어야 한다.

728x90
반응형